2013년 7월 22일 월요일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읽고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읽고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읽고.hwp


본문
장발장의 원래 제목은 ‘레미제라블’이라고 한다. ‘레미제라블’은 ‘비참한 사람들’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라고 하는데 비참한 사람들이란 어떤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일까라는 의문이 생기게 되었다. 처음에는 그저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비참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생각이 달라졌다.
조카들을 위해서 빵을 하나를 훔치고 19년 동안이나 감옥살이를 하고 나오자 어느 곳에서도 받아주지 않았던 장발장, 그리고 부모의 얼굴도 모르고 온갖 구박과 무시를 당하며 고된 일을 다 했던 코제트, 또한 가난 때문에 목숨보다도 사랑하는 코제트를 테나르디에 부부에게 맡기지 않으면 안 되었던 팡틴을 나는 비참하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자베르 경감도 그 못지 않게 비참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베르 경감은 장발장이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떻게 살아가는 지 그것은 관심 밖이었다. 오로지 법을 어긴 죄인인 장발장을 잡는 일만이 그에게 그의 삶에 아주 중요한 일일뿐이었다.
그렇지만 혁명군의 포로가 된 자신을 거짓으로 총을 쏘아, 자신을 죽인 듯 보이게 한 장발장의 행동에서 인간의 존귀함과 사랑을 깨닫게 되고, 센 강으로 몸을 던져 최후를 맞은 마음이 가난한 사람이기

본문내용
쓴 인간의 영혼을 울리는 소설이라는 찬사를 받는 소설 레미제라블이다. 요즘에야 영화의 인기와 더불어서 원작소설이 다시금 재조명을 받는 경우가 많다지만 이 작품은 애초부터 대작으로서 주목을 받았다. 1862년에 출판이 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소설,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로 전 세계인을 감동을 시킨 이 작품은 200여 나라에서 출간이 된 말 그대로 웅대한 피와 흙과 눈물에 잠긴 세기의 걸작이다.
비참한 자들. 그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가난은 스스로를 파렴치한으로 만들게 되고, ‘불쌍한 사람’과 ‘파렴치한’ 이 두 가지는 서로 구별할 수 없게 되어 ‘레미제라블’이라는 한 마디 말로서 표현이 되는데, 빅토르 위고는 장발장만을 염두에 두고 제목을 정한 것이 아닐 것이다. 수없이 많은 가난에 잠긴 사람

하고 싶은 말
위 책을 읽고 나서 열심히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