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구성주의 이론을 반영한 수업 및 실제 수업 사례분석
목차 Ⅰ. 서론 - 앞으로 하고자 하는 이야기 Ⅱ. 본론 1. 구성주의 vs. 객관주의 2. 이상적 구성주의식 수업 - Problem Based Learning at Maastricht University 3. 우리나라 실제 수업 사례 - 평창중학교 박재용 교사 4. 구성주의 수업의 발전 - e-PBL Ⅲ. 결론 -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져야 할 구성주의 교육에 대한 우리의 결론 본문 ※ 수업정보 : 중학교 3학년 과학 수업 동영상 “물의 순환과 날씨의 변화” (평창중학교 박재용 교사) ① 수업분석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모형과 ICT(정보통신 기술) 활용을 통한 수업으로 수업 목표를 협동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문제해결력 신장에 초점을 두었다. • PBL 수업과정 5단계 (동영상 1:10~) - PBL에 대한 이해 단계 (개요설명, 진행절차, 안내) - 프로젝트 계획 및 실행 단계 (과제제시 및 안내, 자료수집, 탐구활동 전개) - 프로젝트 정리 (수집한 자료 정리, 분석, 올바른 결론 도출) - 학습결과물 산출 (결과물 제작) - 결과물 발표 및 정리 (동료평가, 소감문 작성) ② 구성주의적 특징이 잘 반영되었는가?(괄호 안은 동영상 시간) - 교사가 ICT 활용을 유도하고 있으며, 수업에 크게 개입하고 있다. - 교사가 PBL 수업 자체를 미리 강의식으로 설명, 안내하였다. 프로젝트를 학생들이 스스로 진행해나가기 전에 진행 방법, 순서 등 학습에 관한 모든 절차를 사전에 교사가 안내하며, 그 과정에서의 자료제시 또한 교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 학생들이 직접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하였다. (6:00~) -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6:30~8:00) 교사가 학습사이트를 안내하거나 홈페이지에 탑재하는 등 미리 자료 제공하였다. 그러나 제공된 자료 외에도 더 나은 자료를 학생들이 스스로 찾아내기도 하기 때문에 자료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았다. - 학생들은 자료 정리 및 분석단계에서 모둠별 협의 결론 도출해내었고, 교사는 검토확인을 하였다. (9:00~9:26) - 학생들이 결과물 발표 및 정리하였다. (13:57~15:15) 프레젠테이션, 뉴스 레터를 제작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발표력 향상시켰으며, 각 조가 얻은 자료를 서로 공유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동료평가 등의 상호작용으로 새로운 학습을 용이하게 하였다. ⇒ 학생 스스로가 자료 수집, 협의, 발표 등의 과정에서 주도적인 모습을 보여 구성주의적 본문내용 이상적 구성주의식 수업 - Problem Based Learning at Maastricht University 3. 우리나라 실제 수업 사례 - 평창중학교 박재용 교사 4. 구성주의 수업의 발전 - e-PBL Ⅲ. 결론 -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져야 할 구성주의 교육에 대한 우리의 결론 Ⅰ. 서론 지난 수업시간에 구성주의란 무엇이고 객관주의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내용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구성주의 수업이란 어떤 것이고,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실제 사례를 통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또한 사례를 보고 우리나라 교육에서 구성주의적 요소가 잘 반영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구성주의적 수업의 하나인 PBL이 참고문헌 - 중앙교수학습센터 에듀넷 http://www.edunet4u.net 우수 교사수업 동영상-중학교 과학 수업 동영상 “물의 순환과 날씨의 변화”(제공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네이버 블로그 e-PBL 이란 무엇일까요? (기현샘의 Yuseong English Cafe) 작성자 기현쌤 - 네이버 블로그 “학교가 잘할 수 있는 것 또는 학교만이 할 수 있는 것” http://blog.naver.com/adreamhasim/70066901775 - youtube 동영상 “Problem Based Learning at Maastricht University http://www.youtube.com/watch?v=XB7M5c6MUuo&feature=related - 교육공학의 실제 http://nongae.gsnu.ac.kr/~shmoon/htm/et03.htm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