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22일 목요일

천년학(임권택)에 나타난 한국적 사랑

천년학(임권택)에 나타난 한국적 사랑
천년학(임권택)의 한국적 사랑.hwp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운명적 사랑
나. 사랑의 방법
1) 동호
2) 송화
3) 용택
4) 단심
5) 용택의 아내
3. 결론

본문
영화「천년학」에 나오는 인물은 크게 네 명이다. 하지만 이들 모두 운명적으로 서로를 만나지 못하고 안타까운 사랑을 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을 보이고 있다. 송화는 소리꾼으로 태어났다는 운명, 동호는 송화와 피는 섞이지 않았지만 남매로 자랐다는 운명, 그리고 단심(오승은)은 동호와 결혼해 아이까지 키우지만 동호가 송화를 좋아 하는 운명, 용택은 송화를 사랑했지만 결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들은 서로를 찾아 헤매고 기다리고 가끔 만나고, 결국 함께 하지 못하는 슬픈 모습을 보여준다.


본문내용
「천년학」(2007)에 이르기까지 100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또한 한국영화사상 최초로 100만 관객을 동원한 「서편제」(1993)로 ‘국민감독’이라는 칭호도 얻었으며, 「취화선」(2002)으로는 칸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임권택이 한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은 오랜 세월, 작품의 양, 그리고 동원한 관객의 숫자에 있다기보다는 그가 한국의 고유한 정체성과 한국의 역사, 한국인의 그 무엇을 영화 속에 담으려고 끊임없이 노력을 하였다는 것 때문일 것이다.
특히 우리가 「천년학」에 주목하고자 하는 이유는 단지 그의 오랜 영화 역사 중 100번째로 만들어진 영화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물론 그는 작품선택에 있어서 ‘한국인의 정체성의 정수를 보여주겠다. 50여 년 동안의 작품

참고문헌
함재봉, 「사랑의 보편성과 특수성」
사토 다다오, 「한국 영화와 임권택」
한울, 「임권택, 민족영화 만들기」, 2005
조희문, 「영화평론은 관객을 가르칠 수 있나?」
정문권이강록, 「소설 선학동 나그네 와 영화 천년학의 서사연구」
임권택, 「서편제-영화이야기」
노인화, 「임권택 감독 연구」
 

댓글 없음:

댓글 쓰기